직장인 건강검진 관련 법규
본문 바로가기
건강과 음식

직장인 건강검진 관련 법규

2023. 12. 8.
728x170

안전몽

 

직장인 건강검진은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직장인 건강검진에 관한 법률이 마련되어 있으며, 사업주에게 직장인 건강검진의 실시 및 건강검진 결과의 통지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보건법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확보하기 위한 법률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129조에서는 사업주에게 근로자의 건강 진단을 실시할 의무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직장인 건강검진 시행규칙

직장인 건강검진 시행규칙은 산업안전보건법 제129조에 따른 근로자의 건강 진단의 실시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규정한 규칙입니다. 직장인 건강검진 시행규칙에서는 직장인 건강검진의 대상, 실시 시기, 실시 내용, 비용 부담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직장인 건강검진의 대상

산업안전보건법 제129조 및 직장인 건강검진 시행규칙에 따르면, 직장인 건강검진의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시 근로자 5인 이상인 사업장의 근로자
  • 건설업 및 도급제 사업장의 근로자
  • 특정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사업장의 근로자

 

직장인 건강검진의 실시 시기

직장인 건강검진은 다음과 같은 시기별로 실시됩니다.

  • 사무직 근로자: 2년에 1회
  • 비사무직 근로자: 1년에 1회

 

직장인 건강검진의 실시 내용

직장인 건강검진의 실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체검사
    • 체중, 키,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혈압, 심박수 등
  • 혈액검사
    • 혈액형, 혈구수, 혈액화학검사 등
  • 소변검사
    • 요당, 요단백, 적혈구, 백혈구, 세균 검사 등
  • 흉부 X-ray
  • 심전도
  • 안저검사
  • 치과검진

직장인 건강검진의 비용 부담

대한민국에서는 직장인 건강검진의 비용은 사업주가 부담합니다. 다만, 근로자가 원할 경우 본인이 부담하여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직장인 건강검진의 비용은 검진 항목, 검진기관, 검진자의 나이, 성별 등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직장인 건강검진의 비용은 10만원에서 20만원 정도입니다.

사업주가 직장인 건강검진 비용을 부담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기 위한 목적
  •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목적
  •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목적

사업주가 직장인 건강검진 비용을 부담하지 않는 경우, 근로자는 본인이 부담하여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건강검진 비용은 사업주가 부담하는 경우보다 높을 수 있습니다.

직장인 건강검진의 비용 부담은 사업주와 근로자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하고, 직장인 건강검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직장인 건강검진의 위반 시 과태료

사업주가 직장인 건강검진을 실시하지 않거나, 건강검진 결과를 근로자에게 통지하지 않은 경우,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직장인 건강검진의 중요성

직장인 건강검진은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직장인 건강검진을 통해 근로자의 건강을 관리하고, 건강한 근로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