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체불에 따른 내용증명 발송
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심리

임금체불에 따른 내용증명 발송

2023. 11. 1.
728x170

내용증명은 법적 효력이 있는 문서가 아니므로, 내용증명을 발송했다고 해서 상대방이 바로 의무를 이행하는 것은 아닙니다. 내용증명은 상대방에게 의무를 이행할 것을 최고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상대방이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의사표시를 하는 것입니다.

내용증명을 발송한 후의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내용증명 수신

상대방이 내용증명을 수령하면, 내용증명서와 함께 동봉된 내용증명 수령증을 작성하여 발송인에게 반송합니다.

  • 상대방의 답변

상대방은 내용증명을 수령한 후 일정 기간 내에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답변을 통해 상대방은 의무를 이행하겠다는 의사를 밝힐 수도 있고, 의무를 이행할 수 없다는 의사를 밝힐 수도 있습니다.

  • 상대방의 의무 이행

상대방이 의무를 이행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경우, 일정 기간 내에 의무를 이행해야 합니다.

  • 법적 조치

상대방이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발송인은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법적 조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지급명령

지급명령은 법원이 채권자의 신청에 따라 채무자에게 일정 금액을 지급하라는 명령을 내리는 절차입니다. 지급명령은 채무자에게 송달된 날로부터 2주 이내에 이의신청을 하지 않으면 확정판결과 같은 효력을 가지게 됩니다.

  • 가압류

가압류는 채권자가 채무자의 재산을 강제집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채무자의 재산을 잠정적으로 압류하는 절차입니다. 가압류는 채무자에게 송달된 날로부터 2주 이내에 이의신청을 하지 않으면 확정됩니다.

  • 가처분

가처분은 채권자가 채무자가 재산을 처분하는 것을 막기 위해 채무자의 재산을 잠정적으로 금지하는 절차입니다. 가처분은 채무자에게 송달된 날로부터 2주 이내에 이의신청을 하지 않으면 확정됩니다.

  • 소송

채무자가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발송인은 채무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소송에서 채권자가 승소하면, 법원은 채무자에게 일정 금액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립니다.

 

내용증명 발송 후 절차의 예시

A씨는 B사에 제조 납품을 완료하고, 대금을 받지 못했습니다. A씨는 B사에 내용증명을 발송하여 대금 지급을 요구했습니다. B사는 10일 이내에 대금을 지급하겠다고 답변했습니다. B사가 약속한 기한까지 대금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A씨는 B사에 지급명령을 신청할 예정입니다.

 

내용증명 발송 시 유의사항

내용증명을 발송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해야 합니다.

  • 내용증명의 내용은 정확하고 간결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 내용증명에는 발송인의 인적사항과 연락처가 정확하게 기재되어야 합니다.
  • 내용증명은 우체국 등록우편으로 발송해야 합니다.

내용증명을 발송하면, 상대방이 의무를 이행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상대방이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법적 조치를 취해야 할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