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법률

형사 분쟁 판례: 사건의 진실은?

2023. 12. 4.
728x90
728x170

형사 분쟁 재판은 검사가 피고인을 상대로 형사소송법에 따라 형사사건을 심리·판결하는 절차입니다. 형사 분쟁 재판은 국가형벌권의 행사라는 공적 성격을 가지므로, 공정한 재판을 통해 피고인의 기본권을 보호하고 법질서를 유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형사 분쟁 재판의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공소제기
    검사는 범죄를 인지한 경우 공소를 제기하여야 합니다. 공소는 검사가 법원에 피고인을 형사재판에 회부하는 것을 말합니다.
  • 공판준비기일
    공소가 제기되면 법원은 공판준비기일을 열어 검사와 피고인, 변호인 등이 공판에 대비하여 준비할 수 있도록 합니다.
  • 본안심리
    공판준비기일이 끝나면 법원은 본안심리를 진행하여 피고인의 유·무죄를 가립니다. 본안심리는 공판기일에서 이루어지며, 공판기일에는 검사, 피고인, 변호인 등이 출석하여 증거를 제출하고 증인신문을 하는 등의 절차를 거쳐 진행됩니다.
  • 판결
    법원은 본안심리를 마친 후 피고인의 유·무죄를 판결합니다. 유죄 판결이 내려진 경우 법원은 피고인에게 형을 선고합니다.

 

형사 분쟁 재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피고인의 유·무죄를 가리는 것입니다. 유죄 판결이 내려진 경우 피고인은 형사처벌을 받게 되므로, 피고인에게는 유죄를 면하기 위한 변론이 중요합니다.

형사 분쟁 재판에서 유죄를 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변론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

  • 범죄의 성립 여부
    범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행위를 피고인이 저질렀는지 여부를 입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피고인의 책임능력
    피고인이 범죄를 저지를 당시 책임능력이 없었는지 여부를 입증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양형사유
    피고인의 유죄가 인정되는 경우에도, 양형사유를 주장하여 형량을 감경받을 수 있습니다. 양형사유로는 우발성, 중과실, 피해자와의 합의, 초범, 자백, 피해회복 등의 사유가 있습니다.

형사 분쟁 재판은 피고인의 인생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따라서 형사 분쟁에 연루된 경우 변호인의 도움을 받아 신중하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023년 기준 최신 형사 분쟁 판례

  • 피고인이 우발적으로 범행을 저지르고 반성하고 있으면서 피해자와 합의한 경우 형의 감경 요건인 '특별한 사정'의 인정 여부
    피고인은 피해자를 폭행하였다는 공소사실로 기소되었다. 피고인은 우발적으로 범행을 저질렀고, 피해자와 합의한 상태였다.
    대법원은 피고인이 우발적으로 범행을 저지르고 반성하고 있으면서 피해자와 합의한 경우 형의 감경 요건인 '특별한 사정'이 인정된다고 판결하였다.
    대법원 2023. 8. 2. 선고 2022도10595 판결
  • 정신질환이 있는 자의 범죄에 대한 책임능력의 판단 기준
    피고인은 정신질환이 있는 상태에서 피해자를 살해하였다는 공소사실로 기소되었다.
    대법원은 정신질환이 있는 자의 범죄에 대한 책임능력은 정신질환의 정도, 범행 당시의 정신상태, 범행의 동기, 수단,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고 판결하였다.
    대법원 2023. 4. 12. 선고 2022도10010 판결
  • 범죄의 실행의 착수 여부피고인은 피해자를 폭행하였다는 공소사실로 기소되었다. 피고인은 피해자를 폭행하기 위해 주먹을 휘두른 상태에서 피해자가 피고인의 주먹을 피한 경우 범죄의 실행의 착수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되었다.
    대법원은 피고인이 피해자를 폭행하기 위해 주먹을 휘두른 상태에서 피해자가 피고인의 주먹을 피한 경우 범죄의 실행의 착수에 해당한다고 판결하였다.
    대법원 2023. 7. 20. 선고 2022도11270 판결
  • 살인죄의 구성요건적 인과관계에 관한 판단 기준피고인은 피해자를 살해하였다는 공소사실로 기소되었다. 피고인의 행위가 피해자의 사망에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 여부가 문제되었다.
    대법원은 살인죄의 구성요건적 인과관계는 자연과학적 인과관계와 법적 인과관계를 모두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고 판결하였다.
    대법원 2023. 6. 29. 선고 2022도10684 판결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