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170
미국의 장기 금리가 상승하면서, 나스닥이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
나스닥은 지난 26일(현지시간) 3.5% 하락한 1만 2,012.78로 마감했다. 이는 지난 2022년 12월 20일 이후 약 10주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나스닥의 조정은 미국의 장기 금리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미국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지난 26일 3.3%를 넘어섰다. 이는 지난 2018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장기 금리가 상승하면, 미래의 수익에 대한 기대 가치가 낮아지면서, 성장주에 대한 투자 매력이 떨어진다. 나스닥은 성장주 중심의 지수이다.
나스닥의 조정은 역사적으로 잦은 현상이다. 나스닥은 지난 1971년부터 현재까지 총 70번의 조정을 겪었다.
나스닥의 조정이 단기적인 현상에 그칠지, 장기적인 침체로 이어질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경제 성장세가 둔화될 경우, 나스닥의 조정이 장기화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나스닥은 미국의 장기 금리 상승으로 인해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 나스닥의 조정이 단기적인 현상에 그칠지, 장기적인 침체로 이어질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 나스닥은 지난 2022년 11월부터 조정의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
- 나스닥의 조정은 미국의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우려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 나스닥의 조정으로 인해, 미국 증시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위축되고 있다.
그리드형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NBA 스타 하든, 구단과 갈등으로 시즌 첫 경기 결장 (0) | 2023.10.26 |
---|---|
충남 공주서 규모 3.4 지진 발생···중대본 비상 1단계 가동 (0) | 2023.10.26 |
임종식 경북교육감 “독도는 어떤 경우에라도 대한민국의 땅이다” (0) | 2023.10.26 |
빅뱅 지드래곤, 이선균 이어 ‘마약 혐의’ 입건…연예계 마약의혹 확산 (0) | 2023.10.26 |
유아인·이선균, 영화계 ‘600억 손실’ 책임론…4편 모두 개봉 불가 (0) | 2023.10.26 |
기아 ‘더 뉴 K5’, 25일부터 사전계약 시작…신규 디자인, 신규 파워트레인 적용 (0) | 2023.10.26 |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후 첫 4대강 방문…"4대강 정치적 이용 안돼" (0) | 2023.10.26 |
옷 절도 혐의 김필여 마약퇴치운동본부 이사장 사퇴…국민의힘 징계 논의 (0) | 2023.10.26 |